본문 바로가기

마음대로글쓰기

[독립운동] 영해 3.18 독립 만세운동 및 독립운동가 명단

[독립운동] 영해 3.18 독립 만세운동 및 독립운동가 명단

2012년 3.17일부터 18일까지 영덕군 영해 로타리에서 "영해 3.18 호국정신문화제"가 개최되었다.
영해 독립만세운동은 일제시대 한강이남에서 일어난 3.1만세운동 중 최대규모로서
순국선열들의 호국정신을 기념하고 그 정신을 후세에 길이 계승하고자 추진된것이다.



영해지역의 독립만세운동은 기미년(1919년) 3.1 이전부터 시작되었으나, 이것은 산발적이었으며,
체계적이고 대대적인 독립만세운동은 3월 18일 영해면 성내리에서 시작되어 병곡면,
창수면, 축산면에 이르기까지 영덕 북부 4개면 전체에서 대규모 독립만세의거가 일어난
역사적 독립운동으로서 더욱 의미가 깊은것이라 볼 수 있다.



의거의 발단은 지품면 낙평일의 야소교(耶蘇敎,기독교) 북장로파 교회의 전도사(助事)인
김세영의 전 구세군 참위 권태원을 만나 전국에서 일어난 3.1 독립만세운동 의거의 배경과 당위성과


영덕면에서 만세의거를 일으키도록 권유를 받고, 병곡면 송천리로 와서 기독교 전도사인 정규하,
권상호, 남효직, 남여명, 박휘락 등을 만나면서 부터 시작되었다. 이들은 다수 동지들을
규합하는 한편, 정규하로 부터 영덕에서 보다 영해 장날에 맞추어 대규모 만세시위의거를
일으키는 것이 좋겠다는 제의를 받아, 마침내 영해장날인 3.18일 오후 1시경부터 영해시장을
중심으로 독립만세의거가 시작되었다. 또한 이들과 뜻을 같이하는 이상화, 서삼진, 조영환,
권영조, 김원발, 손영세, 남교문, 김치운 외 많은 우국지사들도 그들의 살고 있는 동리의
동민들이나 친인척, 혹은 기독교 신자들을 설득하여 영해면 성내리에서 한국독립을 요구하는
만세의거를 일으켰다.



영해의 3.18 독립만세운동의 결과는, 사망자 8명인데 병곡면 원화리의 신동송, 각리의 임창목,
영해면 묘곡리의 이회동, 영해면 괴시리의 이해술, 병곡면 이천리의 최재곤 등
5명만 신원이 밝혀지고 나머지 3명은 신원이 알려지지 않았다.


또한 부상자 16명 중 영해 원구리의 권정돌, 묘곡 김도식, 연평리 김위석, 원구리 남만진,
괴시리 남효량, 대진리 이두관, 병곡면 원황리 김위환, 창수면 가신리 남홍진 8명만이
신원이 밝혀졌으며 나머지 8명은 알 수가 없었다. 경찰서에 구금된 자는 창수면 인량리의 박주락(6개월),
영해면 대진리 배계환(3개월), 영해면 원구리 백순지(6개월), 병곡면 거무역리 윤용진(3개월),
영해면 원구리 백순지(6개월), 병곡면 거무역리 윤용진(3개월), 병곡면 이천리 황종운(6개월)이다.


1919년(기미년) 독립만세 운동의거로 독립유공자는 경상북도가 1,408명으로 전국에서 명실상부하게
제일 많은 것을 보면 의거의 고장이라 할 수 있으며, 또한 경상북도를 세분하여 영해지역의 경우,
안동 다음으로 136명이 포상되어 구국이념이 투철한 향리의 고장이라 할 수 있다. 



1919년 3월 18일 영해지역의 독립만세운동에 가담하여  한국독립만세를 부르며
일제에 저항했다는 이유로 장기간의 옥고를 치루었고 수십년이 지난 이후
정부로 부터 독립유공자로 추서받은 애국자들은  다음과 같다.


 영해면 성내리 강삼인(姜삼仁), 영해면 괴시리 권영만(權寧萬), 병곡면 송천리 권영조(權永祚),
영해면 인량리 권재
형(權在衡), 병곡면 송천리 권정필(權正弼), 병곡면 송천리 권태응(權泰應),
창수면 갈천리
김계규(金季奎), 병곡면 원황리 김낙원(金樂元), 창수면 신리 김덕규(金德圭),
영해면 괴시리 김덕수(金德壽),
창수면 신리 김도치(金道致), 영해면 묘곡리 김동락(金東洛),
병곡면 원황리 김동택(金東澤), 병곡면 영리 김몽룡(金夢龍), 창수면 창수리 김반석(金盤石),


병곡면 원황리 김상한(金相漢), 병곡면 원황리 김성욱(金聲旭), 지품면 낙평리 김세영(金世榮),
영해면 괴시리 김실광(金實光), 창수면 신리 김연순(金演淳), 영해면 연평리 김위석(金渭錫),
영해면 묘곡리 김원발(金源發), 영해면 연평리 김재술(金在述), 창수면 갈천리 김중규(金仲圭), 
영해면 원구리 김치만(金致萬), 병곡면 송천리 김치운(金致雲), 영해면 성내리 김택이(金澤伊),
영해면 묘곡리 김학이(金鶴伊), 영해면 괴시리 남계병(南啓炳), 창수면 인량리 남교묵(南敎默),


병곡면 각리 남교문(南敎文), 영해면 원구리 남만진(南晩鎭), 영해면 대리 남병하(南炳夏),
병곡면 각리 남조홍(南朝洪), 영해면 괴시리 남진두(南鎭斗), 영해면 대리 남호연(南浩然),
영해면 원구리 남호정(南浩定), 병곡면 송천리 남효직(南孝直), 창수면 창수리 박계도(朴啓道),
영해면 연평리 박계혁(朴桂赫), 창수면 창수리 박동이(朴同伊), 축산면 부곡리 박동활(朴東活),
병곡면 원황리 박문찬(朴文燦), 병곡면 원황리 박수환(朴壽煥), 창수면 창수리 박숙이(朴淑伊),


축산면 도곡리 박익찬(朴益燦), 창수면 인량리 박작지(朴作之), 축산면 도곡리 박재송(朴載松),
영해면 원구리 박재식(朴載植),
창수면 창수리 박재흥(朴再興), 영해면 연평리 박제원(朴濟元),
축산면 도곡리 박종태(朴鐘泰), 창수면 신리 박종하(朴鐘夏), 창수면 창수리 박천석(朴千石),
병곡면 원황리 박희락(朴羲洛), 울진군 서면 배희직(裵羲稷), 영해면 원구리 백응봉(白應峯),
병곡면 원황리 서삼진(徐三辰), 병곡면 원황리 손무준(孫武俊), 영해면 묘곡리 손영세(孫永世),


창수면 신리 신갑수(申甲壽), 창수면 인량리 신상문(申相文), 창수면 신리 신재휴(申載休),
병곡면 원황리 안상식(安商植), 창수면 창수리 오만이(吳萬伊), 창수면 신리 오해봉(吳海鳳),
창수면 신리 우주일(禹周逸), 창수면 신리 윤순석(尹順石), 창수면 오촌리 이기성(李箕聖),
축산면 상원리 이동화(李東和), 영해면 묘곡리 이상화(李祥和), 창수면 신리 이석범(李錫範),
영해면 괴시리 이석술(李石述), 창수면 신리 이성백(李成伯), 창수면 창수리 이수각(李壽珏),


축산면 상원리 이원이(李元伊), 축산면 상원리 이중달(李中達), 영해면 묘곡리 이중식(李仲植),
창수면 신리 이진탁(李震鐸), 창수면 신기리 이환이(李環伊), 창수면 창수리 이학술(李學述),
창수면 창수리 이해일(李海逸), 창수면 신리 이현설(李鉉卨), 창수면 인량리 이현우(李鉉祐),
병곡면 송천리 장성렬(張星烈), 병곡면 각리 장유학(張有鶴), 창수면 창수리 장진규(張振奎),


영해면 묘곡리 전상호(田相鎬), 병곡면 원황리 정규하(丁奎河), 창수면 창수리 정돌석(鄭乭石),
창수면 창수리 정석근(鄭石根), 병곡면 송천리 조영한(趙榮漢), 병곡면 송천리 조태헌(趙泰憲),
창수면 신리 황부칠(黃夫七), 창수면 창수리 황유선(黃有先).

3.18 영해독립만세운동 행사 동영상 1 보기



3.18 영해독립만세운동 행사 동영상 2 보기



2012년 3.18 영해독립만세운동 행사 현장 슬라이드로 보기

01234567891011


참고문헌: 寧海遺錄